작목별 유기재배력-인삼(재배현황)
작목별 유기재배력-인삼(재배현황)
예정지 선정과 관리 제일 중요
박동윤(흙살림 연구원)/도움말씀 : 정천복(괴산), 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자료, 농촌경제연구원 자료
예부터 우리나라는 인삼생육에 알맞은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축적된 기술수준과 오랜 역사, 홍삼과 같은 상품개발, 우수한 약리성분, 전매제도 등으로 오랫동안 고려인삼의 이름을 떨쳐왔다. 하지만 노동력 감소와 인건비 상승, 농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중국의 10배 정도로 생산비가 많이 들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다른 작물에 비해 투자비와 위험도가 높은 만큼 수익률이 좋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웰빙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선호도를 따라 청정인삼(유기농 등), 산양삼(장뇌삼) 등 고급 신제품을
201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