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참외 접목과 관리
흙살림 조회수 997회 14-03-22 02:33

본문

 
참외의 접목과 관리
 
친환경 시설참외 정식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접목 방법과 접목 후 묘상관리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접목 후 묘상관리 요령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편집자 주>
 
◎ 접목
참외 접목의 목적은 무엇보다 덩굴쪼김 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박에 접목재배 하는데 이어짓기를 하면 토양 전염성인 덩굴쪼김 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호박 중에서 접목친화성이 높으면서 덩굴쪼김 병에 저항성을 가지는 신토좌나 홍토좌 계통의 품종을 대목으로 사용하여 접목재배를 함으로써 덩굴쪼김병을 회피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온성 작물인 참외를 동절기에 촉성재배하면 뿌리의 신장이 떨어지므로 비교적 저온에서도 뿌리의 자람이 왕성한 호박에 접목재배하면 생육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양분흡수 능력이 강하여 과일에 충분한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접목재배의 경우 참외의 품질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저온기 재배가 아니거나 떵굴쪼김병의 발생의 염려가 없는 토양이라면 반드시 접목재배를 할 필요는 없다.
호접 요령은 접수인 참외 씨앗을 5~7일 먼저 파종하고 떡잎이 전개되어 펼쳐지는 시기에 호박대목을 파종하며, 접목은 대목 파종 후 8~10일경 대목이 발아하여 떡잎이 전개되는 시기에 실시한다. 접목장소는 그늘진 곳이나 차광망을 설치된 곳이어야 하며, 따뜻한 장소에서 해야 한다 (기온이 낮은 장소나 찬바람이 들어오는 곳에서 하게 되면 접목 후 시들기 쉽다).
접목방법은 대목과 접수를 동시에 뽑아서 대목의 생장점을 제거한 후 배축을 1/3~1/2 깊이로 위에서 아래로 45°각도로 베고 접수는 배축의 1/2정도의 깊이로 아래에서 위로 45°각도로 베어서 대목과 접수의 절단면을 서로 끼워 밀착시켜 접목용 집게를 이용하여 접수가 클립의 안쪽에 오도록 하여 끼운다. 접목한 묘를 심는 용기는 개별 폿트(Ø12~14㎝)나 32공 플러그트레를 사용하여 접수가 위쪽으로 올라오게 비스듬히 심어야 활착 시 접수보다 대목의 성장속도가 빨라 비슷하게 자라고 접목 활착률도 높일 수 있다.
단근편엽합접 요령은 자가상토에서 근래에는 인공상토를 이용한 32공 플러그트레이 육묘로 전환되고 있다. 대목의 뿌리는 모두 자르고 떡잎은 1장을 45°로 각도로 비스듬히 자르고, 접수는 떡잎아래에서 0.5~1.0㎝ 부위에서 45°로 각도로 절단하여 접수와 대목의 절단면을 마주보게 밀착시킨 후 요철이 없는 클립으로 고정하고 플러그트레이에 옮겨 심는다. 단근편엽합접은 호접보다 접목부위에 생장점 발생이 적고 접수의 배축 절단(斷根) 노력이 절감되며, 접목부위가 튼튼하고 가는 뿌리(細根)의 발달이 좋아 정식 시 활착이 촉진된다.
그림 1. 접목하기 전(좌), 접목 완료(가운데), 접목 후 포트에 심은 모습(우)
(사진출처: http://cafe.daum.net/acmt/20bS/240)
접목 후 묘상관리
접합면의 유합 촉진을 위해서 육묘상의 온도는 28~30℃ 상대습도는 85~90%정도 유지되도록 차광망으로 차광시키며, 접목당일에는 완전히 밀폐하고 내부온도가 30℃이상 되지 않도록 3~5일간 온 ? 습도 유지를 잘 하여야 한다. 이기간 동안 육묘상에 온 ? 습도가 낮으면 접수가 시들어 접목 활착률이 떨어지고 지나치게 고온다습이 지속되면 대목의 배축이 도장되어 구부려지며 접목 부위에서 부정근이 생긴다. 유합이 되고 나면 낮 온도를 25~30℃ 밤 온도는 18~20℃로 낮춘다.
정식기에는 육묘상의 온도를 15℃전후가 되도록 관리하고, 물은 오전 중에 주도록 하며 오후에는 폿트 표면의 흙이 하얗게 마르도록 관리한다. 차가운 물로 관수하게 되면 모종이 저온 스트레스를 받기 쉽다. 육묘 후기에 묘상에서 어미덩굴의 본엽을 4~5매 남기고 순치기를 하여 아들덩굴이 나오게 한다. 이때는 착과 절위의 꽃눈분화기에 해당되는데 낮에 지나치게 고온관리를 하면 꽃눈의 충실도가 떨어지고 암꽃의 착생이나 착과가 나빠지며, 밤 온도가 고온이 되면 정식 후 손자덩굴에 암꽃이 잘 생기지 않고 너무 낮으면 배꼽과 등의 기형과 발생이 많게 되므로 밤낮의 온도차가 너무 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정식후의 옮김 몸살을 방지하기 위해 정식 4~5일 전부터 육묘상 온도를 정식포장보다 1~2℃ 낮게 관리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2. 표준영농교본(105). 참외재배.
박재영 외. 1989. 대목의 종류가 참외의 생장. 과실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원예학회지(30) 2.
성주과채류시험장. 2004. 고품질 참외 생산기술
 
<글:양병근(흙살림 연구소 부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