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딸기 - 시설재배 중심으로 재배기술 높아져
흙살림
조회수 964회
14-03-22 02:34
본문
작목별 유기재배력-딸기
시설재배 중심으로 재배기술 높아져
박동하(흙살림 연구부장)
우리나라 딸기 재배는 1992년부터 시설하우스 면적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이후 재배면적이 다소 감소하는 추세로 2006년 재배면적은 6,813ha에 달한다. 딸기 재배는 198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대에는 연평균 5% 증가율을 보였으나, 2000년 이후부터는 단수 증가율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이는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되면서 재배기술이 향상되고 다수확고품질 품종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딸기 생산 현황
(단위 : ha, 톤)
|
구 분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
|
면 적
(ha) |
전 체 |
7,090 |
7,567 |
7,816 |
7,503 |
7,329 |
6,969 |
6,813 |
|
시 설 |
6,555 |
7,219 |
7,451 |
7,172 |
7,058 |
6,709 |
6,480 | |
|
노 지 |
535 |
348 |
365 |
331 |
271 |
260 |
333 | |
|
생산량 (톤) |
전 체 |
180,501 |
202,966 |
209,938 |
205,427 |
202,500 |
201,995 |
|
|
시 설 |
172,623 |
198,031 |
204,830 |
200,805 |
199,009 |
198,263 |
| |
|
노 지 |
7,878 |
4,935 |
5,108 |
4,622 |
3,491 |
3,732 |
| |
자료) 농림부 채소생산실적
딸기의 노지재배 면적은 시설재배 면적의 1/20~1/25 정도이며, 생산량에서는 1/50이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량이나마 노지재배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특히 제주지역의 경우에는 시설재배보다 노지재배 면적이 월등히 높다. 제주 지역의 경우 도내 소비용으로 노지재배가 꾸준하게 유지되고 있다. 제주지역 이외에서는 전라도 지역에서 재배면적 비율이 높다. 노지재배의 경우 과실의 크기는 작지만, 맛에서는 월등하다는 평이 있다.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가 보다 유기농업에 가깝기 때문에 딸기의 친환경?유기농업을 노지재배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