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도시흙살림운동 현장-음식물쓰레기 퇴비화, 도시텃밭으로 도시로컬푸드 운동전개
흙살림
조회수 861회
14-03-25 01:11
본문
도시흙살림운동 현장-음식물쓰레기 퇴비화, 도시텃밭으로 도시로컬푸드 운동전개

2009년 주민과 함께 퇴비도 만들고, 농산물도 공급할 수 있는 서울 수서매장이 개장되었다. 2010년엔 도시흙살림운동이 수서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도심 속에서 소비자를 만나고,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순환의 고리를 만들고, 흙을 친근하게 여기는 교육 문화 활동 등을 펼쳐 도시흙살림운동을 확산시키고자 한다. 이에 도시흙살림운동의 현장 이야기와 정보를 매월 연재한다. <편집자 주>
가까운 먹을거리=로컬푸드
로컬푸드(local food)란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을 의미하며 통상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것을 말합니다. 장거리 운송을 통하여 많은 화석에너지가 소요되며 장거리 운송을 거치면서 수익이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민보다 유통과 판매를 하는 이들에게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영양 및 신선도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취지를 갖고 출발한 운동이 로컬 푸드(local food)운동입니다.
음식물쓰레기는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며 발생된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처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발생지역에서 처리하여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흙살림에서는 도시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재생시켜 도심의 부족한 흙을 보충하고 흙과 도시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선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도시에서의 로컬푸드 운동을 전개하고자 합니다.
로컬푸드(local food)란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을 의미하며 통상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것을 말합니다. 장거리 운송을 통하여 많은 화석에너지가 소요되며 장거리 운송을 거치면서 수익이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민보다 유통과 판매를 하는 이들에게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영양 및 신선도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취지를 갖고 출발한 운동이 로컬 푸드(local food)운동입니다.
음식물쓰레기는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며 발생된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처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발생지역에서 처리하여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흙살림에서는 도시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재생시켜 도심의 부족한 흙을 보충하고 흙과 도시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선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도시에서의 로컬푸드 운동을 전개하고자 합니다.
서울 수서동 주공아파트 단지의 시범화
강남구 수서동 주공아파트(영구임대)는 약2,500세대 규모로 이중 1개동 혹은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 이를 흙살림 기술로 퇴비화 하여 만들어진 퇴비를 이용, 텃밭을 가꾸어 농산물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로컬푸드 운동을 추진 예정입니다.
지속성의 핵심인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및 추진체계의 공식화를 위해 입주민 및 관리사무소와 함께 사업추진을 위한 협약 체결(‘09.6)을 하였으며 수서동주민자치위원회, 한국도시연구소, 주거문화연구소,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재)그린트러스트 등 사회서비스확대를 지향하는 다양한 기관과 연계하여 보다 나은 방향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주민들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서아카데미를 통한 꾸준한 교육을 병행하고 주민통행이 드문 단지 후문 방향의 유휴지를 활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설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용도변경 예정인 단지내 농구장을 비닐하우스 방식의 농산물 경작지로 사용하고 각 동의 앞뒤 화단 및 단지 내 유휴지를 복토하여 텃밭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강남구 수서동 주공아파트(영구임대)는 약2,500세대 규모로 이중 1개동 혹은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 이를 흙살림 기술로 퇴비화 하여 만들어진 퇴비를 이용, 텃밭을 가꾸어 농산물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로컬푸드 운동을 추진 예정입니다.
지속성의 핵심인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및 추진체계의 공식화를 위해 입주민 및 관리사무소와 함께 사업추진을 위한 협약 체결(‘09.6)을 하였으며 수서동주민자치위원회, 한국도시연구소, 주거문화연구소, 사회서비스정책연구원, (재)그린트러스트 등 사회서비스확대를 지향하는 다양한 기관과 연계하여 보다 나은 방향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주민들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서아카데미를 통한 꾸준한 교육을 병행하고 주민통행이 드문 단지 후문 방향의 유휴지를 활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설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용도변경 예정인 단지내 농구장을 비닐하우스 방식의 농산물 경작지로 사용하고 각 동의 앞뒤 화단 및 단지 내 유휴지를 복토하여 텃밭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아파트 단지별로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유휴공간의 녹색화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도시민들의 텃밭가꾸기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비록 규모는 크지 않지만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소각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장거리운송으로 낭비되는 화석연료를 줄여보고자 합니다. 도시공간내 죽어가는 흙을 살리고 텃밭을 조성하여 쾌적한 도시미관과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글:서현주 도시흙살림지원팀>
비록 규모는 크지 않지만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소각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장거리운송으로 낭비되는 화석연료를 줄여보고자 합니다. 도시공간내 죽어가는 흙을 살리고 텃밭을 조성하여 쾌적한 도시미관과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글:서현주 도시흙살림지원팀>
농촌에 희망이 있다-프렌차이즈화를 추진하는 유니온팜
농업의 기업경영하는 유니온팜
일본 이바라기(茨城 )현 고미다마(小美玉)시에 있는 유니온팜은 유기채소 15종류를 비닐하우스에서 연중 계획 생산하여 슈퍼와 식당 등에 연간 1억2천만 엔 판매한다. 프렌차이스 방식의 농업경영으로 유명하다. 비닐하우스 133동에서 시금치 상추 쑥갓 고마쓰나 등 엽채류 15종류를 3-4일 간격으로 파종하고 주문받은 양을 연간 104회(연 52주*2) 계획생산하여 판매한다.
유니온팜은 자본금 16백만 엔으로 2000년 1월 설립된 농업회사 법인이다. 사장을 맡고 있는 다마쓰쿠리(玉造)사장은 그의 아버지가 경영하는 농업자재 판매회사에 근무했다. 그러나 농가의 고령화와 농산물의 수입개방으로 농업이 쇠퇴해지면서 농업자재판매회사 경영이 어려워지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농업자재를 직접 사용하는 농업회사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농업자재의 소비촉진은 물론 농업을 직접 경영하면서 새로운 자재를 개발해서 판매하는 것도 성장산업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농업회사법인의 기술을 담당할 파트너로 쯔쿠바(筑波)대학에서 농학박사학위를 받은 두건명(杜建明)씨를 종합기획실장으로 발탁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담당하기로 했다. 그는 300만 엔을 출자했다.
두 실장은 유니온팜의 기본이념을 <유기재배 기술을 확립시키는 것과 농업의 기업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생산농산물의 안정성확보를 위해 유기JAS*인증과 농장의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인 JGAP*인증 획득은 회사의 기본이념과 일치하므로 설립 이듬해 취득했다고 설명한다.
일본 이바라기(茨城 )현 고미다마(小美玉)시에 있는 유니온팜은 유기채소 15종류를 비닐하우스에서 연중 계획 생산하여 슈퍼와 식당 등에 연간 1억2천만 엔 판매한다. 프렌차이스 방식의 농업경영으로 유명하다. 비닐하우스 133동에서 시금치 상추 쑥갓 고마쓰나 등 엽채류 15종류를 3-4일 간격으로 파종하고 주문받은 양을 연간 104회(연 52주*2) 계획생산하여 판매한다.
유니온팜은 자본금 16백만 엔으로 2000년 1월 설립된 농업회사 법인이다. 사장을 맡고 있는 다마쓰쿠리(玉造)사장은 그의 아버지가 경영하는 농업자재 판매회사에 근무했다. 그러나 농가의 고령화와 농산물의 수입개방으로 농업이 쇠퇴해지면서 농업자재판매회사 경영이 어려워지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농업자재를 직접 사용하는 농업회사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농업자재의 소비촉진은 물론 농업을 직접 경영하면서 새로운 자재를 개발해서 판매하는 것도 성장산업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농업회사법인의 기술을 담당할 파트너로 쯔쿠바(筑波)대학에서 농학박사학위를 받은 두건명(杜建明)씨를 종합기획실장으로 발탁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담당하기로 했다. 그는 300만 엔을 출자했다.
두 실장은 유니온팜의 기본이념을 <유기재배 기술을 확립시키는 것과 농업의 기업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생산농산물의 안정성확보를 위해 유기JAS*인증과 농장의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인 JGAP*인증 획득은 회사의 기본이념과 일치하므로 설립 이듬해 취득했다고 설명한다.
정시, 정량, 정질, 정가 공급이 목표
년간을 통해서 17품목의 유기채소를 안정적으로 일정량 출하하기 위해 52주간의 생산계획 카렌다를 하우스별로 만들어 부착하고 있다. 과거의 재배 자료를 기본으로 시기별 하우스별 상황에 맞게 높은 정밀도의 세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두 실장은 각 농장을 매주 순회하면서 각 농장장과 정보를 공유하고 농장 전체의 생육관리와 출하관리를 해서 연중무휴로 출하하고 <정시, 정량, 정질, 정가(定時,定量,定質,定價)>의 공급을 목표로 한다.
농산물을 공산품처럼 주문 받은 양을 계획생산하고 판매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농산물은 기후조건에 따라 풍흉이 결정되고 가격등락이 심하다. 그러나 시설농업의 경우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기시설농업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노력이 독특하여 신문과 TV등에 자주 보도 되면서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판매도 순조롭게 되었다. 처음에 비닐하우스 한 동으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133동으로 확대되었다.
철저하게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토양 만들기와 천적농법과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여 유기재배 한다. 10a의 포장에 연간 3톤의 완숙 식물계퇴비를 사용한다. 동물분뇨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낙엽 볏집 잔디 등 식물퇴비를 사용하고 산도는 6.5-7.0을 유지한다. 미생물농약은 구입해서 사용한다. 미생물은 가격은 비싸지만 효과가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동일포장에는 동일과(科)의 작물이 3-5년 이내에는 연작되지 않도록 윤작(輪作)체계를 수립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한다. 그래서 일반 관행농업보다 인건비는 두 배가 더 들고 농자재 비용은 관행농업보다 덜 든다. 판매가격은 관행농업보다 두 배 비싸게 팔린다.
<글:현의송 도시흙살림 이사>
년간을 통해서 17품목의 유기채소를 안정적으로 일정량 출하하기 위해 52주간의 생산계획 카렌다를 하우스별로 만들어 부착하고 있다. 과거의 재배 자료를 기본으로 시기별 하우스별 상황에 맞게 높은 정밀도의 세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두 실장은 각 농장을 매주 순회하면서 각 농장장과 정보를 공유하고 농장 전체의 생육관리와 출하관리를 해서 연중무휴로 출하하고 <정시, 정량, 정질, 정가(定時,定量,定質,定價)>의 공급을 목표로 한다.
농산물을 공산품처럼 주문 받은 양을 계획생산하고 판매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농산물은 기후조건에 따라 풍흉이 결정되고 가격등락이 심하다. 그러나 시설농업의 경우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기시설농업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노력이 독특하여 신문과 TV등에 자주 보도 되면서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판매도 순조롭게 되었다. 처음에 비닐하우스 한 동으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133동으로 확대되었다.
철저하게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토양 만들기와 천적농법과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여 유기재배 한다. 10a의 포장에 연간 3톤의 완숙 식물계퇴비를 사용한다. 동물분뇨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낙엽 볏집 잔디 등 식물퇴비를 사용하고 산도는 6.5-7.0을 유지한다. 미생물농약은 구입해서 사용한다. 미생물은 가격은 비싸지만 효과가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동일포장에는 동일과(科)의 작물이 3-5년 이내에는 연작되지 않도록 윤작(輪作)체계를 수립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한다. 그래서 일반 관행농업보다 인건비는 두 배가 더 들고 농자재 비용은 관행농업보다 덜 든다. 판매가격은 관행농업보다 두 배 비싸게 팔린다.
<글:현의송 도시흙살림 이사>
***JGAP;농산물의 안전성확보, 환경부하저감, 노동자의 안전과 복지, 농장경영관리에 대해서 129항목의 관리점이 정해진 농장에 대한 인증재도.
***유기JAS; 유기JAS법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화학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고 2년 또는 3년간 이상 재배한 채소.
***SEICA; 인터넷에 공개된 농산물에 관한 공적 데이터베스. 등록된 농산물에는 하나하나에 카다로그번호가 발행되어 PC나 휴대폰으로 채소가 생산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이다.
***유기JAS; 유기JAS법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화학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고 2년 또는 3년간 이상 재배한 채소.
***SEICA; 인터넷에 공개된 농산물에 관한 공적 데이터베스. 등록된 농산물에는 하나하나에 카다로그번호가 발행되어 PC나 휴대폰으로 채소가 생산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이다.
***농업생산법인 유한회사 유니온팜
우)311-3422
茨城縣小美玉市中延1712
전화; 0299-37-1100, 팩스; 0299-58-6699
E-mail; info@union-farm.com
사장 玉造洋祐 ,실장 杜建明
우)311-3422
茨城縣小美玉市中延1712
전화; 0299-37-1100, 팩스; 0299-58-6699
E-mail; info@union-farm.com
사장 玉造洋祐 ,실장 杜建明
흙살리는놀이-낙엽으로 흙을 만들어요
흙은 생명의 원천입니다. 모든 생명체는 흙에서 나서 흙으로 돌아갑니다. 흙이 없이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흙은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무한한 생명력을 지니고 끊임없이 다른 생명들을 키워 내고 있습니다. 사람 역시 흙의 생명력에 의지해서 살아갑니다. 사람은 흙을 딛고 흙이 키워 준 생명을 먹고 살아갑니다. 사람은 흙의 기운인 지기(地氣)로 생명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결국 흙과 사람은 서로 살리면서 함께 살아가는 관계인 것입니다 (강성희, 2003).

낙엽으로 흙을 만들어 보아요
1. 낙엽줍기 - 낙엽을 오른손으로도 줍고, 왼손으로도 주어요. 닮은 모양끼리 주어요.
2. 모으기 - 비닐봉지에, 혹은 양파 넣어 둔 자루에 모아요.
책 안에 넣어 말릴 것은 따로 모아요.
2. 모으기 - 비닐봉지에, 혹은 양파 넣어 둔 자루에 모아요.
책 안에 넣어 말릴 것은 따로 모아요.
3. 넣기 - 투명한 플라스틱상자에 차곡차곡 넣어요. 한잎, 세잎, 다섯잎, 홀수로 넣어요.
이번에는 두잎, 네잎, 여섯잎 짝수로 넣어요.
이번에는 두잎, 네잎, 여섯잎 짝수로 넣어요.
4. 뿌리기 - 낙엽을 넣으면서 미생물 제재(부엌살림)를 뿌려요.
5. 책만들기 - 미생물과 관련된 그림이나 이야기를 오려서 미생물 책을 만들어요.
<글:백혜숙 도시흙살림 이사>
5. 책만들기 - 미생물과 관련된 그림이나 이야기를 오려서 미생물 책을 만들어요.
<글:백혜숙 도시흙살림 이사>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