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친환경농업경영 컨설팅 - 높은 온도와의 싸움
흙살림
조회수 790회
14-03-22 02:52
본문
친환경농업경영 컨설팅
여름철 - 높은 온도와의 싸움
우리나라 기후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하고 계절간 기후변화가 심해서 농사를 짓기에 좋은 여건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추운 계절에는 기름으로 난방을 해야 하지만, 요즘같이 폭염이 계속되는 기후에서는 어떻게든지 온도를 떨어뜨려야 성공적인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한여름의 열기와 한겨울의 추운 기운을 조금씩이나마 저장했다가 교차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30도를 훨씬 웃도는 온도 조건에서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20도 이상 더 높다. 한낮의 50도를 넘는 하우스 내부 온도는 사우나를 무색하게 만들 정도이다. 한낮에는 도저히 하우스 내부를 들어갈 엄두조차 내지 못하게 만든다. 대부분의 농가들도 한낮의 고온을 피해 이른 새벽과 해질녘에 집중적으로 작업을 한다.
고온기에는 꽃가루의 발달도 불량해지고 수정벌도 활동이 둔화되어 일을 하지 않는다. 기온이 높은 것도 문제이지만, 토양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도 문제가 심각하다. 토양의 온도 상승은 뿌리에 나쁜 영향을 준다. 여름철 고온기에는 배수에 문제가 없다면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것이 토양 온도를 조금이나마 떨어뜨리는데 도움이 된다. 다만, 점적호스 내부에 정체되어있는 물은 온도가 높아져 있기 때문에 밖으로 빼내고 온도가 낮은 물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하수를 통속에 받아 놓았다가 공급하면 온도가 상승하므로 여름철에는 곧바로 공급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을 초저녁에 주는 것과 이른 새벽에 주는 것 중에서 토양온도를 좀 더 떨어뜨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농가의 실험이 필요하다. 농가마다 토성이 다르고 하우스 구조나 재배되는 작물이 다양하기 때문에 온도계를 설치해서 보다 유리한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토양에서의 증방량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멀칭비닐을 걷어올린 모습

여름철에는 흑백비닐을 이용하여 멀칭을 하는 것이 토양온도 관리에 유리하다.
시설하우스 내부 온도 낮추기
시설하우스 내부 온도 낮추기
시설하우스에서는 대부분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물과 비료를 공급하는데, 헛골을 이용한 고랑관수 방법도 토양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므로 적극 도입해볼 필요가 있다.
헛골에서 발생하는 잡초를 억제시키기 위해서 작물이 심어진 곳에만 비닐 멀칭하는 것이 아니라 전 면적을 비닐로 덮어버리는 농가들이 많은데, 여름철 고온기에는 헛골의 비닐을 걷어내는 것이 유리하다. 헛골의 비닐을 걷어내면 토양에서 수분이 증발되면서 기화열을 빼앗아 가므로 토양온도를 떨어뜨리는데 유리하다. 여름철 재배에는 흑백비닐을 이용하여 멀칭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흑백비닐은 위쪽이 백색이고 아래쪽이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 약간 비싸다. 흑백멀칭 비닐의 아래쪽은 검은색이라 햇빛을 차단시켜 주는데, 일반적으로 뿌리는 빛을 싫어하므로 햇빛에 차단되면 뿌리발달에 이롭다. 반대로 위쪽은 백색으로 되어 있어 태양열을 반사시켜 토양속으로 열기가 전달되지 못하게 해주므로 토양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백색비닐에 반사된 태양광이 잎 뒷면에 공급되므로 일조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광합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름철 고온기에는 이중 비닐을 펼쳐 놓거나 시설 외부에 차광망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때 차광을 지나치게 심하게 하면 작물이 도장할 수 있으므로, 한낮 고온기인 오후 12시부터 3시 전후로 차광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온실에서는 차광 효과를 얻기 위해서 외부에 페인트를 칠하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공기 순환휀이나 배기휀을 설치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온도가 높아진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빼내거나 하우스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섞일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해주는 노력이 중요하다. 똑같은 온도 조건에서도 정체된 공기보다는 공기 흐름이 있는 시설 내부에서 작황이 좋으며, 작업하는 사람도 보다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시설 내부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흔들어 줄 수 있도록 최소한의 시설 투자가 필요하다. 여름재배를 위해서는 하우스 구조를 가능한 높게 가져가는 것이 유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 노력도 중요하다.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주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송풍기를 이용하여 하우스 외부의 공기를 시설 내부로 유입시키는 모습
<글:박동하(친환경농업경영 컨설팅 부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