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친환경시설참외-염류집적 토양분석과 피해결과
흙살림 조회수 617회 14-03-22 02:51

본문

친환경 시설참외 재배
 
염류집적 토양분석과 피해결과
생산성, 품질저하에 영향미쳐 
 
비닐하우스에서의 염류집적 상황과 염류집적의 원인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비닐하우스 염류집적 상황
비닐하우스 안에서는 년 2∼3기작을 하면서 비료 주는 양은 많은 반면에 강우에 의한 유실량은 적고 고온에 의한 수분증발에 따라 아래층 흙의 염류가 상승하면서 토양표층에 쌓이기 때문에 염류집적은 더욱 심하게 이루어진다. 염류집적이 많이 일어나는 순서는 초산석회>염화석회>황산석회>염화가리>황산고토>황산암모늄 순이다.표 1과 같이 연작지 포장은 염류적정 수준(0.13이하)에 비해 70%정도가 너무 쌓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산 100%, 칼리 74%정도가 과다 집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논 비닐하우스 연작지 토양 화학성
구 분
일반논
하우스 연작단지
참외 적정수준
산 도 (P H)
5.7
5.9
6.0∼6.5
인 산 (ppm)
107
1,136
350∼450
칼리(me/100g)
0.27
0.86
0.70∼0.80
질 소 (ppm)
16
193
 
염류축적도(EC)
0.03
3.40
0.13이하
 
◎ 염류집적의 원인
시설재배에서 염류가 집적되는 원인은 다비, 강우차단, 시설이라는 특수환경에서 작토층에 집적되게 되어 있다.
1. 다비재배
시설재배는 집약적인 재배관리가 되기 때문에 수량을 증가시키고자 다비재배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원예작물의 농가 시비량을 보면 시비 기준량보다 질소는 40%, 인산은 150%, 칼리는 60%정도 과비가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중 질산태질소는 특히 가축분퇴비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농가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토양 중 질산태질소 함량이 200mg/kg수준 이상에서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질소비료를 전혀 주지 않아도 작물재배가 가능하다.
2. 가축분뇨의 과다 시용
농가들의 가축분뇨 시용은 비료로서가 아니라 유기물로서 시용 한다는 개념이 강하기 때문에 시용량도 많고 이들의 비료 성분량을 계산한다면 화학비료 시비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채소재배지에서 가축분퇴비를 다량 시용한 경우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리 함량이 매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2> 유기물 1톤당 성분량과 유효성분량
유 기 물 명
수분
(%)
성 분 량 (kg/t)
유효성분량(kg/톤/연)
질소
인산
칼리
석회
고토
질소
인산
칼리
퇴 비
75
4
2
4
5
1
1
1
4
구 비 (우분뇨)
66
7
7
7
8
3
2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