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참외 이상발효과의 발생원인과 대책
흙살림 조회수 600회 14-03-22 02:47

본문

참외 이상발효과의 발생원인과 대책
 
◎ 저온과 일조부족
과실이 익어 가는 도중 생육온도가 낮으면 안쪽은 서서히 익지만 과피는 굳어진다. 억제재배와 촉성재배시 저온은 발효과 발생율이 현저하게 높고, 과실의 당도도 낮고 성숙일수도 길다. 따라서 촉성, 반촉성 및 조숙재배에서는 평균 생육온도를 20~25℃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상발효과를 신경쓰다가 지나친 고온 상태가 되면 당도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빛을 적게 받은 참외는 이상발효과의 발생율이 높다. 이는 적은 빛이 생육온도를 낮게하여 초세가 번무하고, 생육일수가 길어진 때문이다.
◎ 질소비료의 과다
질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하게 되면 덩굴이 무성해지고 칼슘의 흡수가 억제되어 이상발효과가 발생한다. 질소질 비료를 늦게 추비하면 과실성숙기에 덩굴이 무성해지고 칼슘의 흡수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발효과의 발생이 심하게 된다. 한편 퇴비, 화학비료 등 거름의 종류에 따라서도 발효과의 발생율은 물론 당도도 달라진다. 미숙퇴비와 볏짚을 시용하면 발효과 발생율이 높아지고 당도가 낮아지는데 이것은 퇴비의 분해가 늦게 되기 때문에 비효는 과실비대기에 나타나 질소질 비료를 추비로 준 것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대목의 영향
접목을 하면 대체로 비료의 흡수 능력이 강해져 이상발효과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접목재배시에는 가급적이면 만할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높으면서 흡비력이 약한 대목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토좌를 대목으로 사용한 경우는 이상발효과의 발생율이 가장 높고 백국좌, 홍토좌, 흑종호박의 순서로 적게 발생하는 편이다. 그러나 홍토좌와 같은 대목은 저온기와 고온기에 뿌리가 쇠퇴하고 지상부 생육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노지재배나 조숙재배 작형에서는 고려되어야 한다.
◎ 정지와 착과의 영향
참외는 정지방법, 착과수, 시비량과 시비시기, 관수여부에 따라 초세가 달라지는데, 초세가 강하면 과실의 외피부는 늦게 익고 안쪽은 정상적으로 익어서 이상발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착과의 위치는 아들덩굴의 6절부터 착과시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반농가에서 조기수확을 목적으로 이보다 하위절에 착과시키는 경우 초기에 초세가 강하게 자라기 때문에 발효과의 발생율이 매우 높다. 같은 수의 과실을 착과시키더라도 초세가 왕성한 경우 아들덩굴의 상위절(끝쪽)로 몰아서 착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과수가 많으면 과실의 크기는 작아지고 당도도 다소 떨어지나 이상발효과 발생율은 19.4%로 착과수가 적은 과실의 이상발효과 발생율 67.2%보다는 매우 낮아 착과수가 이상발효과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토양수분의 영향
토양수분이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밭에서는 수분은 물론 질소, 인산, 칼리 및 칼슘을 알맞게 흡수하여 덩굴이 웃자라거나 무성하지 않다. 그러나 토양이 건조하면 칼슘 흡수가 매우 어려운데, 갑자기 비가 오던가 관수를 하면 수분과 질소를 과잉흡수하게 되고 칼슘의 흡수는 저해되어 이상 발효과의 발생율이 높아진다. 수분이 많은 토양에서는 수분이 적당한 토양에서보다 이상발효과의 발생이 15%나 높고 당도도 낮다. 따라서 참외재배 포장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정식하기 전에 배수로를 정비하고 관수호스나 점적호스를 이용해 소량씩 자주 관수함으로써 토양수분의 변화를 적게 해야 한다.
◎ 칼리 및 칼슘의 영향
칼리비료가 토양중에 많으면 칼슘의 흡수가 억제되고 이상발효과의 발생을 조장한다. 그러나 칼리질비료의 과다로 석회질 비료의 흡수가 억제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고, 토양수분과 칼리비료의 과다, 토양중 암모니아태질소 또는 마그네슘이 너무 많은데 기인한다. 또한 산성토양에서는 토양중에 칼슘이 충분히 들어 있어도 흡수가 곤란하여 부족현상이 나타나며 모래땅에는 칼슘성분이 녹아서 쉽게 땅속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부족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 품종과의 관계
대부분의 참외품종은 이상발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당도가 높은 품종일수록 그 가능성은 커진다.
◎ 참고문헌
농촌진흥청. 1996. 박과채소 재배기술. 농촌진흥청, 표현구 외. 1992. 채소원예 각론. 향문사, 농촌진흥청. 1990. 농촌진흥시험연구사업보고서. 농촌진흥청.
<글:양병근(흙살림연구소 부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