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시설과 노지 재배 포도
흙살림
조회수 610회
14-03-22 02:44
본문
작목별 유기재배력 - 시설과 노지 재배 포도
■ 주영직(흙살림 연구팀장) ■도움말씀: 최영관, 최홍영(이상 금산), 최근태(천안)
■ 주영직(흙살림 연구팀장) ■도움말씀: 최영관, 최홍영(이상 금산), 최근태(천안)
2008년도부터 친환경 포도 재배력을 새롭게 시작한다. 해를 거듭하면서 회원들의 지적과 따끔한 충고로 보다 분발하여 다양한 작물에 대한 재배력 연구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몇 해 전부터 흙살림연구소에서는 과수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연구를 위해 과수 재배력을 준비해 왔다. 사과와 배를 비롯하여 현재 포도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를 위해 배움의 자세로 농가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의 재배기술을 배우고, 그 기술을 회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한다. 아직은 미흡하여 내용이 부족하지만, 꾸준한 연구로 회원들의 기대와 요구에 보답하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투고 중인 재배력은 보편화된 작업 내용도 있지만, 인터뷰 농가의 특성에 맞는 보편화되지 않은 작업 내용이 있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앞으로 흙살림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지도와 성원을 부탁드린다.
◎ 2~3월 작업
◎ 2~3월 작업

그림 1. 온도 관리 시작으로 인한 새 뿌리 발생과 시설 내 온도 유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비닐 물주머니
시설 포도재배는 노지에 비해 온도 및 생육 관리가 용이하여 보통 연 초부터 관수를 시작으로 재배관리가 시작된다. 관수량은 1분당 18리터이며, 약 12시간 동안 실시한다.
열풍기를 이용한 가온은 1월 30일경부터 시작하며, 지온 상승을 위해 이랑과 이랑 사이에는 긴 비닐 주머니에 물을 채워놓아 둔다. 뿌리는 가온 이후부터 발근되기 시작하고, 신초 발아는 2월 10일경부터 시작된다. 뿌리 발근에 도움을 주고자 2월 중순경 300평당 활인산 20리터와 빛모음 5리터를 관주한다.
열풍기를 이용한 가온은 1월 30일경부터 시작하며, 지온 상승을 위해 이랑과 이랑 사이에는 긴 비닐 주머니에 물을 채워놓아 둔다. 뿌리는 가온 이후부터 발근되기 시작하고, 신초 발아는 2월 10일경부터 시작된다. 뿌리 발근에 도움을 주고자 2월 중순경 300평당 활인산 20리터와 빛모음 5리터를 관주한다.

그림 2. 아상처리를 통한 신초의 균일한 생육
신초 발생 시기에는 신초로부터 1cm 떨어진 부위에 아상 처리하여 균일한 신초 생장을 유도한다. 신초 정리는 2~3개의 눈을 남기고 단초를 실시하며, 열과 방지를 위해 패화석을 살포한다. 신초가 발생하고 잎이 전개될 무렵 추부의 최영관님은 홍삼 추출액과 빛모음 혼합 배양액 60cc를 물 1말(10리터)에 희석(약330배)하여 신초에 엽면살포 한다. 지난해 경험으로 볼 때 홍삼엑기스와 빛모음 살포로 포도의 생육은 물론 병해도 없이 수확할 수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울러 이 시기에 주기적으로 관주용 비료를 2시간 정도 점적관주 한다. 신초가 발생하는 시기에 적정 습도는 50% 정도이기 때문에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이랑사이의 비닐 물주머니 위에 비닐을 깔고 그 위에 살수함으로써 습도를 조절한다. 주간 온도는 자동개폐기를 이용하여 25℃ 정도로 유지고, 야간 온도는 4단계로 조절하는데, 오후 4시~6시까지는 1단계로 13℃, 6시~8시까지는 2단계로 12℃, 8시~10시까지는 3단계로 11℃, 10시 이후로는 4단계로 10℃로 온도를 맞추어 포도나무가 저온에 적응하는 시간차를 두고, 난방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배한다. 이때 실내 온도 편차는 ± 2℃ 정도 이다.

그림 3. 전지와 석회질소 처리를 마친 노지 포장
노지 재배의 경우 초생 재배를 통해 토양의 입단을 촉진시키고, 물리성을 개선하여 포도나무 뿌리를 건실하게 한다. 잡초가 과도할 경우 차광막이나 부직포를 이용하여 멀칭을 실시하여 과도한 잡초발생을 막는다. 노지에서는 발아시기가 늦어 2월 24일까지 전지를 실시하고, 2월 중순경 석회질소를 20%로 희석하여 상등액을 눈 부위에 분무함으로써 신초 발아 촉진을 위한 작업을 한다. 기비로는 퇴비와 유박을 3월 이내에 살포하고, 봄철 작업을 준비한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