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농업동향

페이지 정보

의식 있는 농민주도형 유기농업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
흙살림 조회수 676회 14-03-21 21:41

본문

<연재> 미국의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 운동-上
의식 있는 농민주도형 유기농업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
미국과 유럽의 해외유기농식품 동향에 이어, 미국의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CSA: community-supported agriculture)의 개관을 2회에 걸쳐 연재한다. 이어서 대표적인 CSA(지역공동체지원농업) 조직의 개별 사례를 3개 정도 (시카고, 캘리포니아, 캔사스시티) 직접 취재를 해서 3회에 걸쳐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미국 농무성의 지원정책과 관련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정리해 연재할 계획이다. <편집자 주>
1986년 미국동부지역에서 처음 시작한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CSA) 운동이 최근까지 꾸준히 확산되고 있다. 지역공동체 지원농업방식으로 유기농업을 하는 농장의 수는 2008년 11월 현재 미국 전역에 약 2,172개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www.localharvest.org). 미국의 유기농축산물의 거래는 주로 대형소매체인과 자연식품소매체인 등 전통적인 시장기구에 의해서 거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농민시장 (farmers’ market)과 지역공동체 지원농업 등 소위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한 거래는 그 비중이 매우 낮지만 소규모 가족농들의 대안적인 판매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농민시장은 1994년에 미 전역에 1,775개에서 2006년 4,385개로 늘어나 약 10억 불어치의 농축산물이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USDA ERS) 농민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농축산물이 유기농법에 의해서 재배된 것은 아니다. 반면에 거래규모 면에서 농민시장보다는 적지만 지역공동체 지원농업은 농민시장과 달리 유기농업의 생산과 거래의 조직화방식면에서나 추진주체들이 지향하는 이념적 측면에서도 농민시장방식과 차별적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1986년에 미국 매사추세츠 주와 뉴햄프셔주에 각각 처음 설립된 지역공동체 지원방식의 인디언 라인 농장과 템플-윌톤 지역공동체 농장의 설립자들은 주로 스위스와 독일에서 전개되어온 바이오디나믹 농법과 식품을 통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제휴 협동조합운동에 영향을 크게 받아 이 운동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의식있는 지역주민들의 지원을 통하여 토지를 구입하고 장기임대방식으로 토지를 이용하여 유기농법으로 공동생산하고 생산된 농축산물을 지원에 참여한 주민들에게 배분하는 관계를 형성하여왔다. 즉, 의식있는 농민들의 주도로 농민-소비자 협동조직을 설립한 것이다. 그 이후 지역공동체 지원 농업운동은 미국 동부뿐만 아니라 서부 및 중부, 남부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2008년 현재 약 2,172개의 농장이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전체의 약 10%는 비영리조직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고, 약 75%는 개별 농민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중심 소비자그룹이 토지와 자본을 제공하여 농민을 고용하여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공동체 지원농장의 규모는 농장마다 큰 차이가 있으며, 이들과 연계된 소비자가구는 대략 4만 여가구로 추정되고 있지만 이러한 농장에 종사하는 인력과 생산규모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조사되지 않고 있다. 세부적인 운영은 농장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다.
지역공동체 지원농업을 추진하는 농민은 보통 자가노력비를 포함한 연간 농업생산비를 계산하여 이 총액을 참여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수로 나누어 매년 지불할 1인당 지분액 (share)을 계산한다. 이 지분액은 보통 네 명의 가족식구가 수획기간 동안 매주 일정량의 채소와 과일 등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금액이 되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농장규모가 클수록 참여해야하는 소비자의 수가 많아져야 한다. 반면에 여러 농민들이 공동으로 운영하여 규모가 커지면 공급 농축산물의 품목수가 많아지고 소비자의 만족도는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참여 소비자의 조직화가 큰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참여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자신의 지분액을 파종시기 전에 일괄 지불하거나 분할 납입할 수도 있다. 소비자 가구당 지분액은 지역공동체 지원 농장 마다 차이가 있지만 약 300-700 달러에 달한다. 식구 수가 적은 가구의 경우 2분의 1 지분을 구입할 수 있으며, 식구 수가 많은 가구는 2구좌의 지분을 구입할 수도 있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