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농업동향

페이지 정보

유기농업과 온실가스
흙살림 조회수 332회 14-03-21 21:32

본문

유기농업과 온실가스
이효원(한국방송통신대학 농학과 교수, 유기농업학회 부회장)
 
온실가스를 아시나요
  미국의 부통령이었던 엘 고어의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이라는 보고서와 이를 바탕으로 한 영화가 개봉된 이후 온실가스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온난화는 지구의 온실효과 때문이라고 한다. 온실에 들어가면 덥게 느껴지는데, 마찬가지로 지구에서는 대기권이 비닐과 같은 역할을 하고 이 대기권 안의 온도를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0), 하이드로 폴로로카본, 파플로로 카본, 6불화유황 등이 가온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지구가 오늘날과 같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태양에서 내리 쬐는 에너지의 양과 지구 밖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이 같아야 하는 데 앞에서 언급한 온실가스의 영향으로 대기 밖으로 내뿜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하여 다시 지표면에 반사시켜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온실가스 중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또 문제가 되는 것이 이산화탄소이며, 이는 산업화와 함께 계속 증가하였고 석유나 석탄을 연소하면서 생긴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라는 새로운 문제를 만들게 되었다. 결국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식량생산에 사용된 총에너지가 얼마나 되는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는 음식물 선택에서 소위 탄소인식 식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데 1)음식 중 육류와 치즈가 적게 할 것 2)음식물 낭비를 줄일 것(필요한 음식물 구입, 적정량을 섭취하여 쓰레기로 인한 메탄의 발생량 감소) 3)과일과 채소 섭취 4)지역농산물 구입(농산물 이동으로 인한 열과 온실가스 절감) 5)식물연쇄가 적은 음식물 먹기 6)수돗물 먹기 등이다.
  농업과 관련 온실개스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첫째는 질소비료를 만들기 위한 연료 집중 투입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1톤의 비료를 만들기 위해서 보통 5톤의 석유를 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는 목장에서의 가축에 의한 개스배출로 한 마리 소는 연간 145파운드의 메탄을 발생시키며, 메탄은 이산화탄소 보다 23배나 더 크게 온난화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유기작물재배로 식재 수확, 가공, 이동, 저장을 위한 농기계 사용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들 수 있다. 넷째 과도한 시비는 아산화질소(N2O)로 휘발되며, 이는 이산화탄소 보다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296배나 크다.
유기농업과 온실가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작물이 탄소동화작용에 의해 농작물을 생산하거나 지하부의 뿌리로 저장시키는 방법 밖에는 없다. 미국의 경우 총 이산화탄소의 25%가 농업분야에서 배출된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볼 때 탄소보존수치는 화석연료가 5,000~10,000 기가그램, 토양에 1850, 대기에 780, 산림에 500정도 된다고 한다.
  25년간의 연구결과도 관행농법은 25년 동안 탄소가 3.57%가 감소한 반면 초지를 중심으로 한 유기작물과 유기낙농에서는 25.22 및 26.96%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작 에너지면에서도 옥수수 재배를 대조구로 했을 때 유기나 유기 무경운 재배법 49% 및 67%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아직도 일부 농가는 다수확이란 이름으로 무분별하게 에너지를 투입해왔는데 이는 곳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끼친 셈이 되었다. 연료나 비료의 사용이 지구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깊이 생각할 때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