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농업동향

페이지 정보

일본 하코네 목장-안전, 안심으로 6차 산업 견인
흙살림 조회수 1,085회 16-07-28 11:45

본문

안전·안심으로 6차 산업 견인, 하코네 목장

   

크???-???_??됤 ??? 뒀?퐰.jpg
 

 

북해도 하코네 목장은 230마리(육우 130마리, 유우 100마리)의 소와 260㏊의 초지를 조성해서 일찍부터 유기 축산을 실현하고 있는 체험형 관광 목장으로 유명하다. 하코네 목장의 연매출액은 5억엔이고 치즈, 아이스크림 등 낙농 제품과 육가공 제품, 곡물, 채소류, 양파수프, 감자수프 등 각종 가공 제품을 생산해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판매한다. 그 외에 도쿄에도 직영 매장이 잇어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면 택배로 판매하기도 한다. 이 목장은 1948년 가나가와 현 하코네 읍에 설립되었으나 하코네 지역을 관광지화하면서 1969년 지금의 위치로 확장 이전해 3대째 운영되고 있다. 계약직을 포함하여 40명의 직원이 이 목장에서 일한다.

 

유기 축산 실현

이 목장은 안전한 사료를 먹인 안전한 쇠고기와 우유를 생산하는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소도 홀스타인과 저지, 브라운스위스, 수우, 와규 등 5종류를 사육해서 용도에 맞는 고기와 우유, 치즈, 버터를 생산한다. 광대한 농지에서 인간과 환경에 유익한 유기 재배를 실현한다는 철학으로 낙농을 한다. 소에서 나온 퇴구비는 작물 재배에 필요한 토양의 영양소로 중요하게 활용된다. 일본 유기농업연구회의 JAS인증을 받았다.

목장의 체험행사는 20여 가지로 참가자들은 넓은 초원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고 말타기, 소 타기, 젖 짜기, 햄·소시지·버터·아이스크림 만드릭, 농산물 수확 체험, 눈썰매 타기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연간 체험 관광객은 6만명 정도이고 그 수의 60%가 학생이다. 학생들은 3시간 정도 목장의 다양한 작업을 직접 체험하는데, 학생 수가 점점 늘고 있다. 요금은 착유 체험 8,000원(735엔), 승마 8,000원(735엔), 소시지 만들기 18,000원(1,575엔), 감자 캐기 9,500원(840엔) 등이다.

 

안전·안심 추구, 90% 자급 유기 사료

하코네를 비롯한 일본의 목장들을 살펴보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목장들이 안전·안심 중심의 생산과 경영 다각화 등 관광형 종합 농장으로 변신하고 있는 점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안전과 안심의 첫걸음은 자급 사료의 공급이라고 생각하여, 초지를 확보하고 사료 곡물을 생산하여 건초와 기름진 먹이를 90% 정도 자급하는 체제를 갖추었다. 25년 전 쇠고기 수입이 자유화되면서 수입 쇠고기에 대응하기 위해 목초지에 8년 윤작과 유기 재배를 시작했다. 지금은 목초는 물론 모든 농산물을 유기 재배하고 있다.

1984년부터는 목장 내에 스테이크 하우스를 기업하고 햄, 소시지 체험 공방을 운영했다. 1987년 쇠고기 수입이 본격화되면서 쇠고기 가공제품을 생산하고 안전·안심의 농산물 생산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인반 관광객의 입장을 허용했다.

한편 유럽 본고장의 명품 치즈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부터는 지중해 수우 15마리를 수입해서 사육하여 모짜렐라 치즈를 생산하고 있다. 수우의 우유는 홀스타인 소보다 단백질이 3배 많고 치즈 맛이 훌륭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환경 변화에 따라 농업의 6차 산업화

본래 종축 개량에 관심이 있었다는 가쓰마타 가쓰히로 사장은 감자 수확을 하다가 작업복 차림으로 우리를 마중하러 나왔다. 그는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과 안심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유기 재배 농장의 현장을 직접 확인하게 한다고 말한다. 직접 체험을 해 본 소비자느 생산자를 신뢰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쓰마타 사장은 소비자의 믿음을 얻기 위해 자신의 목장을 관광 목장으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목장의 입구에 있는 100여 명 수용이 가능한 식당에서는 목장에서 생산한 쇠고기 스테이크(4만원)와 목장에서 가공한 치즈, 소시지, 신선한 유기 채소를 사용한 요리 등을 맛볼 수 있다. 낙농 중심의 목장에서 쇠고기, 채소 및 곡물의 생산은 기본이고 낙농 제품을 가공하는 가공업에, 관광객에게는 체험까지 판매하는 일종의 기업으로 변화하였다.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시대 변화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 시대의 변화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변화를 통해서 목장을 성공적으로 경영하고 있는 점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